1. 공기조화 설비재
공기조화는 실내의 온도, 습도, 세균, 냄새, 기류 등의 조건을 그 장소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일이다. 공기조화 설비는 습도조절, 환기, 공기정화를 위한 공조시설 등으로 세분화되며, 위생시설을 요구하는 병원이나 연구소, 정밀제품 생산 공장 등에는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
1) 덕트
덕트란 공기가 흐르는 통로로 풍도라고도 한다. 덕트의 형태는 단면이 사각형이나 원형으로 제작되고 설치된다. 덕트는 기능적으로는 급기와 배기로 나눠지며, 열의 이동 효율을 높이기 위해 덕트 둘레에 단열재를 감기도 한다. 덕트의 재료로는 함석,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PVC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 각형 덕트
가장 많이 적용되는 덕트의 형태로 주로 함석을 절곡하여 제작하며, 덕트와 덕트의 연결은 플랜지에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설치한다.
- 원형 덕트
각형 덕트에 비하여 경제성과 시공성이 우수하다. 내부의 마찰 손실이 적고 누풍의 효율이 높아 현장에서 많이 적용이 되는 재료이다.
- 플렉시블 덕트
알루미늄 포일에 폴리에스터 필름을 피복하고 도금된 탄소체 강선과 함께 제작된 제품이다. 유연성을 갖고 있으며 천장이나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주관 또는 지관덕트와 디퓨저를 연결할 때에 사용한다.
2) 디퓨져
실내 환기를 위해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하기 위하여 천장이나 벽에 설치하는 기구이다. 디퓨저는 각형, 원형, 라인형, 그릴형이 있고 주재료로는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이 사용된다. 색상은 백색이나 아이보리색이 주종을 이룬다.
- 각형 디퓨저
각형 디퓨저는 300x300, 600x600 각의 규격으로 제작 생산된다.
- 원형 디퓨져
실내 측으로 노출되는 면의 형태가 원형인 제품이다.
- 플로어 디퓨저
천장고가 높은 장소의 바닥에 설치한다.
- 라인 디퓨저
라인 디퓨저에는 라인 디퓨저, 브리즈 라인 디퓨저 슬롯 리니어 디퓨저 등이 있다.
- 그릴/레지스터
주차장, 창고, 기계실, 화장실 등의 환기 또는 배기덕트에 취출구용으로 사용한다. 풍량을 조절하는 날개형 댐퍼가 일체식으로 제작된 것을 레지스터라 하고 풍향의 각도만 조절할 수 있는 흡입구를 그릴이라고 한다.
- 노즐형 디퓨저
대형 공간에 다량의 공기를 집중적으로 공급할 때 적용하는 것으로 풍량과 풍향의 조절이 가능하다.
- 댐퍼
공기 조절 장치의 공기 통로에 설치하여 공기의 양을 조절하고 역류를 방지하는 장치이다. 화재 시 연기의 배출을 억제하고, 주방 또는 화장실의 악취가 덕트를 통하여 다른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도 사용된다.
3) 팬 코일 유니트
팬 코일 유니트는 송풍기와 필터, 코일을 구비한 유니트로 중앙 기계실에서 냉, 온수를 공급하여 공기 환경을 조절하는 설비이다.
2. 공조설비 시공
1) 덕트 제작 및 설치
덕트는 주로 아연도 강판으로 제작이 되며, 공장에서 제작을 하는 경우와 현장에서 현장 조건에 맞게 제작하는 경우가 있다. 급, 배기용 덕트의 용량에 따라 관의 크기가 결정된다. 덕트는 일정 크기로 제작이 되며, 덕트와 덕트를 이어주는 것을 플랜지라 한다. 덕트의 설치는 행거볼트 및 행거에 의하여 고정이 된다.
2) 급기 덕트
급기 덕트는 깨끗한 공기와 냉난방용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사각형태의 통이다. 주로 함석으로 제작이 된다. 급기용 덕트는 냉, 난방된 공기가 이동 중에 열을 뺏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시트 마감의 단열재로 씌운다. 일반적인 급기는 천장급기를 채택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바닥급기를 채택하기도 한다.
3) 배기덕트
배기덕트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공기조화기계로 연결하는 흡입관이다. 배기덕트는 알루미늄 시트로 씌우지 않는다. 사무실 건물과 대형 건물에서는 흡기덕트를 별도로 두지 않고 실내의 공기압 차이에 의한 천장흡기를 하는 경우도 있다.
4) 디퓨저의 설치
디퓨저는 덕트와 바로 연결이 되는 것이 아니고 플렉시블이라는 주름관과 연결된다. 플렉시블 덕트를 사용하는 이유는 디퓨저의 위치에 연결을 자유롭게 하기 위함이다.
설비공사는 인공으로 조성된 공간에서 삶의 쾌적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기계 및 장치를 말한다. 인간의 위생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에 설치된 각종 시설물들을 설비라고 하며, 이러한 건축설비를 시설하는 재료들을 설비재라고 한다.
기술 발달 건축 공간에 기능이 하이테크화에 따라 그 종류와 기능이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오늘날의 설비공사는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화되고 공간의 질적 향상이 추구되면서 보다 적극적인 의미와 역할을 갖고 있다. 실내공간의 기본적 기능과 용도에 따른 열, 전기, 물을 공급하고 사용 이후의 배출에 관한 시설이 설비공사의 중심이다.
3. 급, 배수 설비
급수설비는 실내에 상수 및 증수를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실내설비의 급수설비는 사용목적에 따라 음료와 조리를 위한 주방과 욕실의 상수 계통, 청소와 정원용수 등 잡용수 계통, 공업용 생산공정 계통, 중수도를 적용한 재사용수 계통, 병원이나 실험실 특수 계통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배수설비는 세면기, 욕조, 변기 등에서 배수되는 여러 가지 고형물이나 오수를 공공하수도나 정화조까지 보내는 역할을 한다. 배수의 종류는 물의 내용에 따라 오수, 잡배수, 우수, 용수, 특수배수를 구분한다. 오수 및 잡배수는 생활배수이며, 우수 및 용수는 자연현상에 의해 발생한 것이다. 특수배수는 산업폐수이다.
1) 급수설비
예전에는 화장실과 같은 공간에 급수설비를 할 때는 조적공사를 한 다음 매입배관을 하였으나, 현재는 건식공법의 발전으로 인하여 건식벽체를 세우고 배관을 매입하는 것도 보편화되었다. 건식공법에서 배관은 천장을 통한 하향하는 배관과 아래층 슬라브를 뚫고 올라오는 상향식 배관 방식이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 바닥배관을 하는 경우도 있다.
2) 배수설비
실내공간에서의 배수설비는 주로 생활용수 및 오수를 하수관이나 정화조까지 내려 보내는 설비를 말하며, 주로 주철관을 이용하여 배관을 한다.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테리어 석재 공사 (0) | 2023.01.23 |
---|---|
인테리어 타일 공사 (0) | 2023.01.23 |
실내 방수 공사의 종류 및 공법 (0) | 2023.01.23 |
상업 공간 조명의 문제와 대안 (0) | 2023.01.22 |
인테리어 보수 관리 (AS) (0) | 2023.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