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실내 방수 공사의 종류 및 공법

by 안녕앵두 2023. 1. 23.
반응형

1. 실내 방수 공사

방수공사는 물을 사용하는 공간에서 물이나 습기가 건축물의 구조부로 침투하거나, 다른 실로 번져 나가는 것의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건축에서의 방수공사는 지하수의 침투나 건물 외부의 습기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옹벽, 외벽, 지붕 등에 적용한다. 인테리어 디자인의 방수공사는 화장실, 세탁실, 주방 또는 목욕탕과 같은 내부의 수분과 습기가 다른 공간에 전이되어 건물의 구조부 또는 마감재가 변형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 위한 공사로 채택한다.

 

방수재

방수재는 방수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유형에 따라 시트형 정형 재료와 액체형 또는 분말형의 부정형 재료로 구분되며, 건물의 방수 또는 방습을 위한 목적으로 생산된 제품이다. 방수재는 용도와 기능에 따라 바탕에 새로운 층을 형서하여 방수를 하는 제품, 바탕재료에 방수재를 혼합하여 방수를 하는 제품, 바탕의 표면에 도포를 하여 방수를 하는 제품 및 시트형태의 제품 등이 생산되고 있다.

 

1) 옥상 방수용 탄성 에멀젼 페인트

동절기의 혹한과 하절기의 혹서에도 효과적인 방수성능을 유지하도록 유연한 탄성을 가지며 콘크리트에 뛰어나 부착성을 갖는 수성타입의 탄성 방수도려이다. 건조 후 이음매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도막은 뛰어난 내수성을 갖는다. 건물의 충격이나 수축과 팽창에 도막이 갈라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과 인장강도를 보유하며, 침수가 반복되는 장기간의 옥외폭로 조건에서도 소지 부착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도료이다.

 

2) 수성 벽체용 탄성 방수 도료

아크릭 에멀젼수지와 안료로 제조된 수성타입 탄성도료이다. 치밀한 표면구성 및 탄성 있는 도막을 형성하여 방수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크랙의 방지나 물 세척이 가능하며 콘크리트 시멘트 구조물의 내. 외부 면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3) 유성 발수제

시멘트 모르타르이나 콘크리트 등에 도장 시 침투하여 표면에 도막이 형성되지 않고 무색 투명하다. 소지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며 동결이나 염에 의한 손상, 화학적인 파괴, 생물에 의한 침식 현상들을 막아준다.

 

4) 유성 발수제(속건형)

유성계 발수제로서 도장 후 용제가 증발되면서 발수효과를 발휘하는 제품이다. 다공성이 있는 각종 건축자재의 표면에 도장되어 빗물 등의 침투를 막아줌으로써 건축자재의 색상을 보호, 유지시켜 주며 건물의 균열이나 백화현상, 철근의 부식을 방지하여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발수제이다.

 

5) 수성 발수제

기존의 유성 용제형 타입의 발수제를 대체하여 수성타입으로 제조된 무독성, 무취의 수성발수제이다. 발수효과 및 발수 지속력이 우수하여 외부의 빗물 등이 침투할 수 있는 건축자재의 표면에 도장 시 빗물 등의 유입을 막아 백화현상, 철근의 부식 등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수제가 도장된 소지에는 물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동결이나 염에 의한 건축물의 손상, 화학적인 파괴 등을 막아주며 소지표면의 통기성을 유지한다.

 

2. 방수공사 공법

방수공사의 공법으로는 약체방수와 우레탄 방수가 대표적으로 적용된다. 방수공사는 준공 후에 보수의 난도가 높다. 따라서 면밀하게 시공을 필요로 한다.

 

1) 액체방수 공사

액체방수란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의 표면에 액체형태의 방수제를 도포하거나 침투시키고 방수제를 혼합한 모르타르를 덧발라 물의 침투를 막는 공법이다. 액체방수를 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 방수용액은 물에 방수제를 희석 또는 용해한 방수용액을 밑바름 층에 칠한다.

- 방수 시멘트 풀칠은 시멘트 방수제 및 물을 배합 반죽하여 밑바름 층에 칠한다.

- 방수 모르타르 바름은 시멘트, 모래, 방수제 및 물을 배합하여 모체에 바른다.

 

2) 도막방수공사

도막방수는 액체방수를 하고, 2차로 시공한다. 방수용으로 제조된 우레틴 고무계, 아크릴 고무계, 고무 아스팔트계 등의 액상형의 재료를 바탕에 발라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공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시공 장소의 요철 및 파손된 부분을 보완하고 바탕면을 고른다.

- 방수할 면에 프라이머를 고르게 도포한다.

- 균열부위, 이음매 부분, 모서리 부위, 드레인 부위, 파이프 주변 등에 보강재를 바른다.

- 일반적으로 3회 도포하여 도막방수재의 두께가 3mm 이상이 되도록 한다.

- 시공 장소의 환경을 반영하여 충분한 건조시간을 확보한다.

- 방수한 부위에 물을 채워 24시간 동은 누수 확인을 하는 담수시험을 하고, 이상이 없을 경우 보호용 모르타르로 마감을 한다.

 

3) 규산질계 침투성 도포 방수공사

표층부에 무기질의 활성 실리카 성분을 포함한 침투성 물질을 도포하여 콘크리트의 간극 또는 공극에 침투시켜 수밀 하게 만들어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사이다. 이 공법은 노출된 외부 콘크리트 표면, 노출된 실내 콘크리트 표면, 외부 체물치장 콘크리트 표면, 실내 제물치장 콘크리트 표면, 수조, 피트, 공동구 등의 콘크리트 표면에 적용이 된다. 공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시공계획서를 작성하고 재료와 기기를 준비하며, 시공에 적합한 작업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 시공할 면에 대하여 바탕을 점검한다. 깨끗하게 청소를 하며, 균열, 돌출면의 유무 등을 확인하여 평탄한 면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 바탕면이 조성되면 솔이나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바탕 표면에 도장하여 침투시킨다. 도포 획수는 2회 정도로 하며 첫 번째 도포 후 24시간이 경과한 후 두 번째 도포를 실시한다.

- 도포 방수재는 보호 층을 시공하지 않지만, 보호 마감을 할 경우에는 특기시방에 준하여 실시하도록 한다.

 

 

 

반응형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테리어 타일 공사  (0) 2023.01.23
인테리어 공기 조화 설비, 급 배수 설비  (0) 2023.01.23
상업 공간 조명의 문제와 대안  (0) 2023.01.22
인테리어 보수 관리 (AS)  (0) 2023.01.22
커튼의 디자인 종류  (0) 2023.01.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