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금속 공사
인테리어 시공에서 금속 공사는 하중을 지지하는 내구적인 목적으로서의 보강작업, 구조물 조성, 붙박이 가구류의 골조 조성과 창호 프레임공사 및 수장용 금속공사 등이 있다. 금속재료는 내구성이 강하므로 등박스 조성, 천정 구조물공사 등과 같이 대규모의 하중이 큰 구조물 제작에도 적합하다. 가공성도 우수하므로 시공의 디자인적 제약이 적다. 외부 공장에서 기본적인 재단과 절곡 된 상태로 가공하고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설치하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녹의 발생과 중량을 고려하여 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철골, 철근, 판금, 창호, 설비 공사를 제외하는 것을 총칭한다.
철 금속
철 금속은 철강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철과 강을 합쳐서 일컫는 말로 일반적으로는 철을 의미하기도 한다. 철금속의 대표적 특징은 대기 중에서 곧 산화되어 광택을 잃는다는 것이다.
1) 탄소강
탄소강은 탄소량에 따라 구분되는데 주철, 강, 연철의 순으로 탄소량을 함유하고 있다. 제조 과정에 탄소의 양이 많을수록 단단하며 물체가 연성을 갖지 않고 파괴되는 성질이 크고, 주조성이 좋다.
- 주철
주물용 선철을 원료로 3.0~3.6%의 탄소량에 해당하는 것을 주철이라고 한다. 철 금속 중 가장 녹기 쉬워 주조하기 쉬운 장점이 있고 물에 대한 내식성은 큰 편이나 산에 대해서는 부식되기 쉽다. 보통 주철은 난로, 맨홀의 뚜껑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며, 인테리어 디자인 재료로는 창호 철물, 장식 철물로 사용된다.
- 순철
불순물을 전혀 함유하지 않은 순도 100%인 철을 말한다. 철에 함유된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므로 순철을 만들기 위한 정련법은 매우 특수해야 하고 소량 생산된다. 내식성이 약한 것이 단점이며 합금재료 등에 쓰인다.
- 선철
보통 무쇠라고도 하며 철광석에서 직접 제조되는 철의 일종이로 철 속에 탄소 함유량이 1.7% 이상인 합금을 말한다. 탄소 이외에, 규소, 망간, 인, 황 등을 함유한다.
- 탄소강
철과 탄소를 주체로 하는 합금으로 불순물로서 규소, 망간, 인, 황을 함유하지만, 열처리가 가능한 0.1~1.5%의 탄소를 함유한 것을 말한다.
2) 특수강
특수강은 보통강에 대응한 말로 탄소량이 많은 특수용도의 고탄소강과 특수한 성질을 부여하기 위해 탄소 이외에 다른 금속을 첨가해서 강의 특성을 개량한 합금강을 말한다. 합금강에는 스테인레스강, 니켈강, 크롬강 등이 있다.
- 스테인리스강
스테인리스강은 철에 약12% 이상의 크룸 성분을 넣어서 철의 최대 결점인 내식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특수강이다. 산소를 차단시켜서 피막의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인해 녹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크롬 및 기타 성분의 함유량에 따라 기계적 성질, 열처리 특성 등에 차이가 있다. 스테인리스강은 후속 마감 공정인 도장과 같은 표면처리를 하지 않고도 바로 사용할 수 있고 표면이 미려하고 내화성과 내마모성 및 강도가 큰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철강재로 가공성이 뛰어나 마감재로 및 수장용 금속, 하드웨어 등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건축과 인테리어 디자인에는 보편적으로 수도배관, 약품, 염분, 가스 등의 환경에서는 316 계열을 사용한다.
- 니켈강
강철을 강하게 만들기 위해 탄소강에 니켈을 첨가하여 담금질이 잘 되게 한 특수강을 말한다.
- 크롬강
강의 성질을 개량할 목적으로 크롬을 첨가한 특수강을 말한다.
비철금속
1)동
-동
일반적으로 '구리'라고 하며 자연구리로서 산출되는 경우도 있으나 주로 황화물, 산화물 또는 탄산염으로 산출되며, 이것을 제련하여 구리를 얻는다. 열전도성, 전기 전도성이 높고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하여 냉, 난방 등의 배관재료, 전기재료 등에 사용된다. 장식 철물, 창호 철물 등에 사용한다.
- 황동
구리에 아연을 가하여 만든 합금으로 황금색상이며, 아연의 함유량에 따라 다양한 색감을 나타낸다. 아연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경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색상도 구리의 붉은색에서 황색에 가까워진다. 장식 철물, 정첩 등에 사용된다. 산이나 알칼리에 약한 단점이 있다. 놋쇠 또는 신주라고 한다.
- 청동
구리와 주석의 합금이다. 황동에 비해 강도 및 경도가 크며 내식성과 주조성도 좋다. 발색 처리액을 사용하여 부식시켜 다양한 패턴과 색감을 나타내기도 한다.
2) 알루미늄
알루미늄은 비철금속 중 가벼운 경금속 중의 하나로 비중은 철이나 동과 비교하여 약 3분의 1이다. 다른 금속에 비해 소성가공이 쉽고, 절삭 가공성이 뛰어나 다양한 형상의 모양을 성형할 수 있다. 용융점이 다른 금속에 비해 비교적 낮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의 모양을 주물로 만들 수 있다. 재활용성이 큰 것도 특성 중 하나이며 순도가 높은 알루미늄의 경우 에어지의 90% 이상을 반사하고 적외선이나 자외선 등의 광선과 전자파를 잘 반사한다. 내식성도 비교적 우수한 편이다. 창호 재료를 많이 사용된다.
3) 두랄루민
알루미늄에 구리, 마그네슘 등의 금속을 첨가해 알루미늄의 성질을 개량한 합금이다. 두랄루민은 알루미늄에 구리를 첨가한 두랄루민과 이것에 마그네슘을 첨가한 추두랄루민, 다시 아연을 첨가한 초초두랄루민으로 나눌 수 있다. 초초두랄루민은 항공기의 재료로 사용된다. 두랄루민은 중량에 비해 강도가 매우 강하다.
4) 니켈
니켈은 은백색의 광택을 지닌 금속으로 내식성이 크며 전성 및 연성이 풍부하다. 강한 자성을 지니고 있으며 공기 및 습기에 잘 산화되지 않으며, 또한 알칼리에도 잘 침식되지 않는다. 내식성이 큰 특성으로 전기 장식 철물로 이용된다. 니켈 합금은 니켈을 주성분으로 한 합금이며 주석, 아연 등을 이용한 합금이 있다.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조적 공사 (0) | 2023.01.24 |
---|---|
인테리어 실내 금속 시공에 관하여 (0) | 2023.01.23 |
인테리어 유리 공사 (2) (0) | 2023.01.23 |
인테리어 유리 공사 (0) | 2023.01.23 |
인테리어 석재 공사 (0) | 2023.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