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인테리어 목공사의 장 단점

by 안녕앵두 2023. 1. 27.
반응형

1. 목공사의 장점

- 가볍고 강하며 가공성과 시공성이 우수하다.
- 열전도율이 낮아 보온성이 우수하다.
- 만졌을 때 느껴지는 감촉이 좋고 전기를 잘 전도하지 않아 안전하다.
- 주로 내장용으로 사용하긴 하지만 외장으로 사용하여도 외관이나 무늬가 아름다워 마감재나 가구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 자연에서 생산되는 재료로 친환경적이고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이다.
- 수급이 용이하다.
- 재료 생산과정에서 탄소발생률이 적다.

2. 목공사의 단점

- 재료가 가진 비중에 비하여 인장 강도가 크다.
- 화재에 취약하며, 습기에 약하다.
- 금속이나, 석재에 비해 내구성이 약하며, 부식성이 크다.
- 목재가 건조함에 따라 뒤틀리거나 갈라지기 쉽다.
- 옹이, 썩음, 송진구멍 등 재료 자체의 조직적인 결함이 있다.

3. 목재의 성질

1) 비중
비중은 목재의 물리적 성질과 강도를 좌우하는 요인이다. 보통 비중이 클수록 수축이 커지고, 뒤틀림의 정도도 많아지지만 강도는 향상된다.
목재의 비중은 기건재의 단위용적중량에 상당하는 수치인 기건 비중으로 나타내는데, 기건 비중이란 목재의 성분 중 수분을 공기 중에서 제거한 상태의 비중을 말한다.
비중은 수종, 밀도, 연륜, 수령, 변재, 심재에 따라 다르다.

2) 함수율
목재에 수분이 포함된 정도를 함수율이라 말한다. 건조된 목재에서 대해 얼마만큼의 수분이 있느냐를 표시하게 되며 %로 표시 되는데, 목재는 수분의 포함 정도에 따라 물리적 성질과 강도를 좌우하는 요인이 된다.
적정 함수율은 구조재는 25%, 수장재는 20%, 창호재와 가구재는 18% 이내이다.
목재를 건조하면 중량이 감소하며 수축하게 된다. 생목을 공기 중에 방치하면 수분이 증발하여 건조되는데 일정 수준에서 건조가 정지된다. 이 상태의 목재를 기건재라 하며 목재의 함수율이 0% 상태인 것을 전건 재라 한다. 목재가 건조하게 되면 먼저 자유수가 증발하고 계속 건조하면 세포막 내의 흡착수가 증발하게 된다. 흡착수만 존재하고 있는 상태를 섬유포화점이라 하며 이때의 함수율은 평균 30% 이상의 범위 내에서는 증감이 거의 없으며 그 이하가 되면 직선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함수율이 포화점 이상이 되면 강도의 변화는 거의 없고 포화점 이하가 되면 함수율이 감소에 따라 목재의 강도가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3) 수축변형과 방향성
일반적으로 목재는 건조하면 수축된다. 수축 시 목재는 방향에 따라서 물리, 기계적 성질이 달라지는데, 기본적으로 심재보다는 변재가 줄기 방향보다는 반지름 방향이, 반지름 방향보다는 연륜 접선 방향의 수축이 크다. 연륜 방향의 수축은 연륜 지각 방향의 2배가 된다.

4) 열전도율
목재의 열전도율은 조직 가운데 공극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편이다. 함수율과 비중이 증가할수록 열전도율이 커진다.

5) 인장 강도
인장 강도란 어떤 물체를 양쪽으로 잡아끌었을 때 외력에 대한 내부 저항을 말한다. 목재의 인장강도는 목재섬유방향과 평행한 종방향이 목재섬유방향과 수직인 횡단방향보다 강하다.

6) 압축 강도
압축 강도란 어떤 물체를 길이 방향으로 양쪽에서 눌렀을 때의 외력에 대한 내부 저항을 말한다. 수직하중에 의해 압축 응력을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부재는 기둥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강도는 목재섬유방향과 평행한 종방향이 큰 편이다.

7) 휨 강도
휨 강도는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생기는데 휨강도는 이때의 내부저항을 말한다. 휨강도는 건물의 바닥, 보와 지붕 널 등의 구조부재에서 발생하는데, 목재의 휨에 저항하는 휨 강도는 압축 강도의 약 1.75배 정도이다.

8) 전단 강도
지반 한쪽이 깨지거나 융기하면서 단면을 따라 파괴가 일어나는 경우와 같이 단면을 위아래로 끊으려는 힘을 전단력이라 한다. 이때 발생하는 저항을 전단 강도라 하는데 사다리의 발을 딛는 가로장은 전단응력을 받는 좋은 예이다. 목재의 전단강도는 목재의 섬유방향과 평행인 것보다는 수직인 경우가 더 크다.

4. 목재의 조직

실내 인테리어 또는 건축용의 재료로 사용되는 목재는 횡단면상으로 구분하여 3 부분으로 되어 있다.
1) 수심
나무의 중심
2) 수피
나무의 껍질 부분에 해당된다. 수분과 영양을 섭취하는 부분으로 오래된 나무일수록 껍질이 두껍다.
3) 나이테
수목의 줄기나 뿌리에서 볼 수 있는 1년간에 생기는 환형 모양의 부분으로 연륜이라고 한다.
4) 심재
목재의 수심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짙은 담색 부분으로서 세포의 성장이 거의 멈춘 조직이다. 원형질이 파괴되고 광물질만 고착되어 있으므로 목질부가 굳고 수분이 적어 변형이 거의 없다.
5) 변재
목재의 표피 가까이 위치한 옅은 암갈색 부분으로서 물과 양분의 유통 및 저장의 역할을 한다. 세포가 살아 있으므로 원형질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목질부가 무르고 함수율이 높다. 목재를 켠 후에도 변형과 균일이 발생할 수 있다.

5. 용도에 따른 분류

1) 구조용재
실내 건축에서 뼈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본적인 강도와 내구성을 필요로 한다. 목재의 단점 중 하나인 수축팽창이 작고, 내부식성이 큰 것이 좋다.

2) 마감재 (치장용재)
실내 건축 공사에서 마무리 공사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수장용재라고도 불린다. 강도나 내구성도 중요하지만 재료 자체가 마감이 되므로 목재의 색상과 무늬결이 아름답고 쉽게 마모되지 않는 것이 사용된다. 가격이 비싼 편이다.

반응형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공사 입찰 과정  (0) 2023.01.29
철거공사와 폐기물처리  (0) 2023.01.28
건축 공사 시공사 선정  (0) 2023.01.26
인테리어 건축 현장 관리 기법  (0) 2023.01.25
인테리어 누수 진단  (0) 2023.01.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