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40 한국 전통적 빛의 표현 - 한국 전통의 빛에 대한 인식 우리 선조들은 전통적으로 빛과 그림자가 확실하게 구분되는 실내에서 생활해오지는 않았다. 그리고 현재의 상황보다는 실제 사물이 가진 본래의 모습을 중요시 여겼으며 그러한 성향은 한국 전통의 미술 특히, 초상화에서도 잘 드러난다. 빛은 시간이나 상황에 따라 변화해 버리는 요소이기에 그 모습을 그려내는 데 있어서 오히려 방해가 되는 요소로 인식했던 것이다. 그래서 그림을 보면 빛에 의해 생기는 그림자나 그 빛이나 그림자로 인해 변화된 모습은 그림이 반영되지 못해고 본래의 형태를 유지한 상태의 그림이 대부분이다. 조선시대의 초상화를 찾아보면 젊고 잘생긴 남자나 아름다운 여성을 그린 그림은 찾아보기 어렵다. 젊은 여성의 초상화라 하면 기생을 소재로 그린 그림 몇 장이 전부이다. 이.. 2023. 2. 8. 도배 시공 순서 도배 공사는 벽지를 천정 또는 벽에 시공하는 것을 말한다. 주거 인테리어의 마감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방법으로 실내 분위기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쉽고 가격이 저렴한 시공에 속한다. 공사 기간이 짧고, 색상과 패턴 디자인이 다양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에 반해 단점은 내구성이 약해 사용 시 찍힘이나 긁힘, 오염에 조심하여야 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불연성, 난연성 오염 방지 기능성, 보온, 방음, 방습 등 실용적 기능성이 추가된 벽지들도 생산되고 있고, 친환경 도배지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벽지는 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의 특정소방대상물에 해당하는 경우 규정에 따라 방염성능이상의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도배의 시공에는 벽면에 직접 바르는 시공법과 초배 후 바르는 시공 .. 2023. 2. 6. 샷시 공사 및 하드웨어 금속 창호는 재료에 따라 스틸 창호, 스테인리 스틸 창호, 알루미늄 창호, 목재창호 등이 있으며, 그밖에 목재와 알루미늄을 혼용한 것도 있다. 개폐방법에 따라 오르내리 창, 여닫이창, 미서기창 등으로 분류된다. 아울러 새시라는 말은 유리창, 유리문의 울거미, 창틀을 의미하며 창호화 혼용된다. 1. 창호의 종류 1) 스틸 창호 스틸 창호는 목재 창호와 비교하였을 때 불연성이라는 장점이 있다. 제조 방법에 따라 속이 텅 빈 중공 상태에서 압력을 가하여 만든 중공식과 금속의 소성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2개의 롤 사이로 통과시켜서 여러 가지 형태의 재료로 가공하는 압연식이 있다. 일반적으로 경제적인 압연식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압연식 창호는 철판을 절곡 하여 만든 창호로 가장 얇게 만들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 2023. 2. 5. 목재의 종류와 가공목 1. 목재의 용도에 따른 분류 1) 구조용 목재 실내 인테리어에서 뼈대의 역할을 하는 목재로 무게 및 강도와 내구성이 요해지는 위치에 사용되는 목재이다. 부식성과 수축팽창에 강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2) 치장용 목재 실내 인테리어 공정에서 마지막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수장용재라고도 불린다. 마지막 마감 후 우리 눈에 보이는 디자인적인 부분에 크게 영향을 끼치는 역할을 한다. 강도나 내구성도 중요하지만 재료 자체가 마감이 되므로 색상과 나무 특유의 결이 아름답고 쉽게 오염이나 마모가 되지 않는 것이 좋다. 2. 건조에 따른 분류 목재 건조 시 고려해야 할 점은 목재를 사용할 용도의 함수율까지 건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엽수는 침엽수보다 건조가 어렵다. 옹이나 바르지 않은 목리.. 2023. 2. 4.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